본문 바로가기

2학년

중학교 2학년 과학 6단원 물질의 특성

용해도

용해도란?

어떤 온도에서 용매 100g최대로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질량(g)이다.

용질과 용매, 용해, 용액에 대해 다시 리마인드 해보세요

1) 일정한 온도, 같은 용매에서 용해도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물질의 특성이다.

2) 용해도 곡선: 온도에 따른 용해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고체의 용해도

고체는 대부분 온도가 높을 수록 용해도가 커진다.

(고체의 용해도는 온도와 비례한다.)

 

기체의 용해도

기체는 온도가 낮을수록, 압력이 높을수록 용해도가 커진다.

(기체의 용해도는 온도와 반비례하고 압력과 비례한다.) 

 

용액의 상태

포화 상태: 일정량의 용매에 용질이 최대로 녹아 있는 상태

불포화 상태: 용질이 더 녹을 수 있는 상태

과포화 상태: 녹을 수 있는 양 이상으로 용질이 녹아있는 상태.

 

용해도 관련 예상 문제 풀이

문제집에서 자주 나오는 문제 유형 위주로 풀이

 

1. 그림은 몇가지 고체 물질의 용해도 곡선이다.

 

이를 설명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O표, 옳지 않은 것은 X표를 하시오.

 

1) 60°C에서 질산 칼륨의 용해도는 약 110이다

풀이: 질산칼륨이 60도일때 그래프가 110에 위치해있으므로 O

 

2) 온도에 따른 용해도 차가 가장 작은 물질은 염화 나트륨이다.

풀이: 용해도 그래프에서는 기울기가 클수록 온도에 따른 용해도 차가 큰 물질이고, 작을수록 용해도 차가 작은 물질이다.

이 그래프에서 염화 나트륨은 기울기가 가장 작기 때문에 O

 

3) 80°C의 포화 용액을 20°C로 냉각할 때 석출되는 결정의 양이 가장 많은 물질은 질산 나트륨이다.

풀이: 포화 용액을 냉각할 때 석출되는 결정의 양이 가장 많은 물질은 용해도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가장 크다.

그러므로 석출되는 결정의 양이 가장 많은 물질은 질산 나트륨이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