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학년 1학기

3 - 1 국어 [ 상처가 더 꽃이다 ]

만두먹기 2021. 4. 7. 00:17

심미적 인식

- 인간을 포함한 세계를 아름다움의 관점에서 보는 것을 말함

- 예쁜 것만이 아니라 슬프거나 추한 것, 웃기는 것 등도 삶의 진실을 담고 있다면 거기에서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음.

 

심미적 체험으로서의 문학

 

문학작품

인간과 세계의 진실에 관한 심미적 인식이 형상화된 언어 예술

작가

경험에서 얻은 심미적 인식을 작품으로 형상화함

독자

작품에 담긴 작가의 심미적 인식을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이해하고, 작가 또는 다른 독자와 심미적 인식을 공유하고 소통함.

 

문학 작품을 통한 심미적 체험 공유하기

작가와 독자, 독자와 독자가 심미적 인식을 공유함.

- > 작가와 독자, 독자와 독자가 공유한 심미적 인식이 인간과 세계에 관한 진실을 이해할 수 있고록 도와줌

     삶의 의미를 성찰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바람직한 삶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게 됨.

 

문학 작품을 통한 심미적 체험의 효과

- 심미적 상상력과 감수성을 기를 수 있다.

- 주체적으로 문학 작품을 감상하는 독자가 될 수 있다.

- 문학 작품 감상이 즐겁고 감동적인 체험이 될 수 있다.

 


 

상처가 더 꽃이다.

갈래 : 현대시, 자유시, 서정시 

성격 : 대조적, 감각적, 교훈적

제재 : 매화나무 ( 어린 매화나무와 고목 )

주제 : 아름답고 고귀한 상처

특징

- 한창 꽃이 피고 있는 어린 매화나무와 한참 꽃이 지고 있는 고목을 대조

- 고목의 상처를 사제하게 묘사함

- 상처가 꽃보다 아름답다는 역설 표현에서 참신한 발상이 드러남

 

1행 ~ 2행까지 어린매화나무와 고목을 대조함

4행 ~ 5행까지 고목의 상처를 시각적 심상이 두드러지게 묘사함. 

9행 : 고목의 고통이 현제에도 계속 된다는걸 표현함

18행 : 도치법을 사용해 강조.

19행 : 역설법 사용


시새움과 책전이 키운 아이들

갈래 : 수필

성격 : 회상적, 서사적, 묘사적

제재 : 초등학교 때 친구와 읍내에 갔던 일

주제 

- ' 읍내 ' 라는 새로운 세계를 만남 신기함과 도움을 준 아저씨들에게 느꼈떤 고마움

- 어린 시절 추억에 관한 그리움

특징

- 어린 시절의 추억을 회상하며 쓴 글임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건을 제시함

- 글쓴이가 본 풍경을 수체적으로 묘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