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년

중학교 2학년 역사 4단원 고려의 성립과 변천 2

만두먹기 2020. 12. 5. 01:16

1. 고려, 통치 제도를 정비하다

 1) 중앙 정치 제도

2성 6부

중서문하성 : 국가의 정책을 논의하고 결정하는 최고 기관

상서성 : 6부를 통해 정책을 집행

6부 : 이, 병, 호, 례, 형, 공으로 나눠 행정 실무 담당

 

도병마사 : 국방 문제를 다룸 -> 점차 국가의 주요 문제를 다루는 최고 권력 기구로 발전

식목도감 : 법 제정과 자료 보관 담당

 

 2) 지방 행정 제도

 

 3) 고려의 군사 제도

1. 중앙군

-> 2군은 궁궐의 수비를 담당, 6위는 개경과 국경 방어 담당

2. 지방군

-> 지역 수비와 국가의 공사에 동원된 주현군(5도)

    국경 수비를 담당한 주진군(양계)

 

 4) 교육 제도

개경과 서경에 학교 설립(태조)

최고 교육 기관인 국자감 설립, 지방에 경학 박사와 의학 박사 파견(성종)

지방에는 향교 설립

 

 5) 관리 등용 제도

1. 과거제

제술과 : 문학적 재능과 정책 시험

명경과 : 유교 경전 이해 시험

잡과 : 실용 기술학 시험

승과 운영

 

2. 음서

왕족이나 공신의 자손, 고위 관료 자제는 시험 없이 관리로 선발

->귀족 지위 세습 가능으로 고려의 관료 제체가 귀족적 특성을 지님

 

2. 거란과 여진의 침입을 막아 내다

 1) 고려 전기의 대외 관계

10세기 초 : 중국에 송, 한반도에 고려, 만주에 거란이 통일 왕조로 등장

송과 거란 : 중국대륙의 패권을 둘러싸고 대립

거란과 고려 : 고려의 북진정책으로 인해 충돌 대립관계

송과 고려 : 거란을 견제하기 위해 친선관계

 

 2) 거란의 침입과 격퇴

거란1차 침입(993)

-배경 : 거란이 송을 공격하기 전에 배후 세력을 끊기 위해 고려 공격

-전개 : 서희와 거란의 장수 소손의 외교적 협상으로 마무리

-결과 : 송과의 관계 단절을 조건으로 강동 6주 획득, 영토를 압록강까지 확대

 

거란의 2차 침입(1010) : 강조의 정변 구실로 침입 양규의 활약으로 물리침

 

거란의 3차 침입(1018) : 강감찬의 귀주대첩으로 승리를 거둠

이후 국경에 천리장성, 개경에 나성을 쌓아 침략에 대비

 

 3) 여진과의 관계

여진의 성장 : 12세기 거란()의 쇠퇴 이후 점차 강성해지기 시작하면서 고려와 충돌

여진 정벌 : 윤관이 별무반을 편성해 정벌을 단행하고 동북 9성개척

방어가 어렵고 여진족의 반환 요구에 돌려줌

강성해진 여진 : 금을 건국, 요를 정복하고 송을 남쪽으로 몰아내 중국 북부 지배

고려에 대해서도 임금과 신하의 관계 요구

사대 관계 체결 : 금의 요구에 굴복해 이자겸의 주도로 사대 관계를 맺음

북진정책의 중단으로 이후 서경 천도 운동의 원인이 됨

 

 4) 활발한 교류를 펼치다

벽란도가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하면서 송, 거란, 여진, 일본, 아라비아 등과 활발히 교류하였다. 교류로 인해 서방에 우리나라가 코리아란 이름으로 알려짐.

 

송과의 교류 : 고려는 송의 선진 문물을 수용하고 송은 고려를 통해 이민족을 견제했다. (송과 교류가 가장 활발했음)

거란과 여진 : 고려와 교류. 은, 모피 등을 주고 농기구, 곡식을 가져감

아라비아 상인: 고려를 서방세계에 알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