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 1 역사 [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
1. 헌병 경찰을 앞세운 무단 통치를 실시하다
1) 조선 총독부
- 총독부 체제 : 1910년 한국 강점 이후 설치, 광복 전까지 유지
- 조선 총독 : 육, 해군 대장 출신이 임명, 군 통수권과 행정, 입법, 사법권 등 절대 권력 행사
2) 무단 통치의 실시
1. 헌병 경찰 제도 : 헌병 경찰을 앞세운 강압적이고 비인도적인 무단 통치
- 즉결 처분권 : 헌병 경찰이 정식 재판 없이 한국인 처벌 가능
- 조선 태형령 : 한국인에게만 적용
2. 제복과 칼 착용 : 관리와 교사에게 제복을 입고 칼을 차게 함
3. 한국인의 모든 정치 활동 탄압 : 많은 독립 운동가 체포, 애국 단체 해산
4. 언론,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 박탈 :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폐지, 민족의식 일깨우는 역사서, 잡지 출판 금지
5. 식민지 교육 정책 : 일어 중심 교육, 한국인에게는 초등 교육 및 실업 교육 주로 실시. 고등 교육 기회 박탈
3) 식민지 수탈 체제의 확립
토지 조사 사업
- 목적 : 토지 소유권을 조사해 지세 부과 -> 식민 통치에 필요한 재정 확보, 초지 대거 검탈 목적
- 전개 : 기간안에 소유자가 직접 신고한 토지만 소유권 인정 -> 신고 기간 짧음. 서류 복잡 -> 신고하지 못한 농민 다수.
- 결과
1) 총독부의 지세 수입 확대
2) 미신고 토지, 국, 공유지 등이 총독부 소유가 됨 -> 동양 척식 주식 회사와 일본인에게 싼값에 판매
3) 농민의 경작권 상실, 소작농 전락 -> 농민들이 화전민이 되거나 만주, 연해주 등으로 이주
- 문제점 : 기존 농민들이 그동안 관습적으로 누리던 경작권은 인정되지 않음. 지주 권리 강화, 대다수 농민 소작농 전락
회사령, 광업령, 어업령 공포 : 허가제 규정
철도, 항만, 도로 등 기간 시설 건설 : 자원 수탈의 기반 마련
2. 1910년대 국내외 민족 운동
국내 민족 운동
국외 민족 운동
3.1 운동이 일어나다
1) 3.1 운동의 배경
2) 3.1 운동의 전개
시작
1919년 3월 1일 민족 대표 33인이 서울 태화관에서 독립 선언식 가짐 -> 탑골 공원에 모인 학생과 시민들이 독립 선언서 낭독 후 만세 시위 전개
확산
서울 -> 평양 등 주요 도시 -> 중소 도시와 농촌 지역으로 확산.
학생, 농민, 노동자, 상인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 -> 전 민족적인 운동으로 발전
일제의 탄압
헌병 경찰, 군대 등을 동원하여 무자비하게 진압, 많은 사상자 발생, 제암리 학살 사건 등 발생
해외
만주, 연해주, 일본, 미주 등지에도 만세 시위 전개
3) 3.1 운동의 의의
1) 우리 민족의 독립 의지를 전 세계에 알림, 항일 독립운동의 정신적 바탕
2) 일제의 식민 통치 방식 변화 : 무단 통치 -> 이른바 문화 통치 실시
3)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계기
4) 중국(5.4 운동), 인도(단지 투쟁) 등 해외에까지 영향을 끼침
4. 대한민국 임시 정부
1)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
- 배경 : 3.1 운동을 계기로 민족의 독리운동을 이끌고 갈 통합된 지도부의 필요성 제기
- 여러 임시 정부의 수립 : 대한 국민 의회(연해주), 대한민국 임시 정부(상하이), 한성 정부(국내)
- 통합 운동 : 대한민국 임시 정부(상하이)로 통합 (1919. 9.)
2)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성격
우리나라 최초의 민주 공화제 정부
- 대통령 중심제 : 대통령에 이승만, 국무총리 이동휘 선출
- 삼권 분립 체제 : 임시 의정원(입법), 국무원(행정), 법원(사법) 구성
3)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활동
1. 연락망 구축 : 국내외 연결, 국내 독립운동 자금 운반
- 연통제 : 비밀 행정 조직망, 정부 문서와 명령 전달, 군자금 조달, 정보 보고 등 담당
- 교통국 : 비밀 연락 조직, 국내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 교환, 연락 업무를 담당한 통신 기관
- 독립신문 발행 : 국내외 동포에게 독립운동 소식 전달 -> 독입 의식 고취
2. 독립 운동 자금 마련 : 독립 공채 발행
3. 외교 활동 : 한국의 독립 문제를 국제적으로 여론화
- 파리 강화 회의에 김규식 파견 : 김규식을 대표로 파견해 독립 청원서 제출
- 구미 위원부(미국) 설치 : 미국 정부와 국민에게 한국의 독립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