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 1 과학 [ 대기 중의 물 ]
1. 포화 수증기량
1) 포화 상태
어떤 기온에서 일정한 양의 공기가 최대로 수증기를 포함했을 때
2) 포화 수증기량
포화상태의 공기 1kg에 들어 있는 수증기의 양을 g으로 나타낸 것이다.
포화 수증기량은 기온이 높아지면 증가하고, 기온이 낮아지면 감소한다.
3) 응결
대기 중의 수증기가 액체 상태의 물방울로 변하는 현상
4) 이슬점
수증기가 응결하기 시작할 때의 온도이다.
이슬점에서는 현제 공기의 수증기량이 포화 수증기량과 같다.
현재 공기의 수증기량이 많으면 이슬점이 높고, 수증기량이 적으면 이슬점이 낮다.
2. 상대 습도
1) 상대 습도
현재 기온에서의 포화 수증기량에 대한 현재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량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2) 상대 습도의 변화
- 상대 습고는 기온이 같을 때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량이 많을수록 높아지고, 공기 중의 수증기량이 같을 때 포화 수증기량이 많을 수록 낮아짐.
- 포화 상태에서는 상대 습도가 100이다.
3) 날씨에 따른 상대 습도의 변화
- 맑은날 : 공기 중의 수증기량이 거의 변하지 않으므로 기온에 따라 포화 수증기량이 달라져 습도가 변함
-> 기온이 높은 낮에는 포화 수증기량이 증가해 습도 낮아짐. 낮은 밤에는 포화 수증기량 감소해 습도 높아짐
- 비오는 날 : 수증기량이 많아지므로 습도가 높다.
3. 구름
1) 단열 팽창
공기가 주변과 열을 주고받지 않고 팽창하는 현상. 단열 팽창 하는 공기의 온도는 낮아진다.
2) 구름이 만들어지는 경우
구름은 공기가 상승할 때 만들어진다
3) 구름
구름의 생성 과정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 상승 -> 부피 팽창 -> 기온 하강 -> 이슬점 도달 -> 수증기 응결 -> 구름 생성
구름의 종류
- 적운형 구름 : 위로 솟는 모양의 구름이며, 공기가 강하게 상승할 때 만들어진다.
- 층운형 구름 : 옆으로 퍼지는 모양의 구름이며, 공기가 약하게 상승할때 만들어진다.
4) 강수
강수이론
구름 방울이 성장하여 비나 눈이 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