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 1 역사 [ 1930년대 이후 무장 독립 투쟁 ]
1. 무장 독립 투쟁의 전개
한인 애국단 :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침체 극복을 위해 김구가 조직
1) 이봉창 의거 : 도쿄에서 일본 국왕 처단 시도
2) 윤봉길 의거 : 상하이 홍커우 공원에서 열린 상하이 사변 축하 기념식장에 폭탄을 던짐 -> 일본군 장성과 고관들 처단 -> 중국인들이 한국의 독립운동에 호의를 보이기 시작, 중국 국민당 정부가 대한민국 임시 정부 적극 지원
한, 중 연합 작전
- 배경 : 일제가 만주사변을 일으켜 만주를 점령하자 중국인들의 반일 감정이 고조됨
- 전개 : 한, 중 연합 작전을 전개하여 일본군과 맞섬
- 일본군의 계속된 공격으로 활동이 어려워지자 대부분의 독립군은 중국 본토로 이동
- 주요 부대
한국 독립군 (지청천) : 쌍성보 전투, 대전자령 전투 승리 -> 임시 정부 요청에 따라 한국광복군에 참여
조선 혁명군 (양세봉) : 영릉가 전투, 흥성경 전투 승리
- 사회주의자 활약 : 군대를 결성하여 항일 유격대 활동 ->1940년대 초반 소련으로 이동
조선 의용대
- 민족 혁명당 창당 :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단체 참여 -> 군사 조직으로 조선 의용대 창설(1938)
- 조선 의용대
> 중, 일 전쟁 이후 우한에서 김원봉에 의해 조직
> 중국 국민당과 함께 항일전 전개
> 일부는 화베이 지역으로 이동하여 일본군과 직접 전투, 잔류 세력은 한국광복군에 합류
- 조선 의용군
> 화베이 지역에서 사회주의 계열이 조선 독립 동맹 조직, 군사 조직으로 조선 의용군 조직
> 옌안에 근거지를 두고 중국 공산당과 연합하여 항일 전쟁 전개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한국 광복군
한국광복군의 창설
건국을 위한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