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 1 역사 [ 경제 성장과 대중문화의 발달 ]
전쟁 피해 복구와 원조 경제
- 배경 : 6.25 전쟁으로 국토 황폐, 산업 시설 파괴 -> 식략난, 물자 부족, 실업 등
- 해결책 : 미국의 원조 -> 전후 복구 사업을 본격화
대표적 원조 물자 : 밀, 원당, 면화
-> 이를 가공하는 산업 발달(제분, 제당, 면방직 공업과 같은 백색 원료 가공 산업 발달, 삼백 산업)
경제 개발 계획의 추진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박정희 정부 때 1962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

1970년대 경제 개발 추진 : 철강, 기계 조선, 전자 화학 등 중화학 공업 중심으로 추진
-> 우리나라 산업 구조가 변화 (경공업 -> 중화학공업)
1980년대 이후의 경제 성장
- 1980년대 중반 : 3저 호황 (저유가, 저금리, 저달러)의 힘을 바탕으로 지속적 성장 -> 기술집약산업 발달(자동차,반도체)
- 외환 위기와 극복 : 1997년 말기 -> 국제 통화 기금의 구제 금융 요청 (IMF체제) -> 구조조정과 금융개혁 등으로 극복
- 외환 위기 이후 첨단 산업을 중심으로 재편 : 중화학 공업은 물론 반도체, 휴대 전화, 액정 표지 장치(LDC)등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게 됨 -> 자유 무역 협정 시대를 맞이함.
우리나라 경제 성장의 문제점
- 성장 위주의 경제 정책으로 야기된 문제 -> 노동문제 (장시간 노동, 낮은 임금, 열악한 환경)
- 저농산물 가격 유지 정책과 농산물 수입 개장 정책으로 야기된 문제
> 외국의 값싼 농산물 유입 -> 농민의 생활 어려워짐 -> 농촌 인구 크게 감소 ->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 벌어짐
- 정부중심, 대기업 중심의 경제 구조 형성으로 인한 문제
> 정경 유착 심화, 중소 기업 성장 미약, 비정규직 증가, 빈부격차 심화
대중문화가 발전하고 국제 교류를 확대하다
1. 광복 ~ 1960년대까지의 대중문화 : 신문, 라디오, 영화를 통해 형성 -> 텔래비전의 보급 (대중문화 선봉의 중요 매체)
> 1980년대 컬러텔레비전이 보급되면서 더욱 가속화
2. 대중문화 소재 변화
- 1970년대 : 독재 정권에 항거하는 문화 형성 (통키타와 청바지),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도시빈민의 비참한 생활을 다룬 소설, 영화 등장
- 1990년대 : 억압적인 사회와 교실 분위기를 비판 (서태지와 아이들 등장)
- 2000년대 : 아이돌 그룹의 전성기 (K-pop 열풍)
3. 스포츠의 발달 : 태릉 선수촌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운동선수 양성
- 1988년 서울 올림픽 대회, 2002년 한, 일 월드컵 대회, 2011년 대구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4. 국제 교류의 확대
- 1980년대 : 해외 여행 자유화
- 2000년 이후 : 해외 유학 자유화 -> 지구촌 곳곳에 한인 사회 확대
- 급속한 경제 발전 : 관광, 유학, 취업 및 결혼을 위해 한국으로 오는 사람 수 증가. 다문화 가정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