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년

중학교 2학년 국어 4단원 올바른 국어생활 (1) 올바른 발음과 표기

만두먹기 2020. 12. 12. 03:16

ㅢ의 올바른 발음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한다.

ex) 여행[여행], 과일[과일], 의리[의리]

 

  • 표준 발음법 제 5항 'ㅢ'는 이중 모음 [ㅢ]로 발음한다.
  • 다만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 다만4.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 [ㅣ]로, 조사'의'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받침소리의 올바른 발음

  • 표준발음법 제 8항 받침소리로는 [ㄱ,ㄴ,ㄷ,ㄹ,ㅁ,ㅂ,ㅇ] 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 표준발음법 제 9항 받침 [ㄲ,ㅋ] [ㅅ,ㅆ,ㅈ,ㅊ,ㅌ] [ㅍ]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대표음 [ㄱ, ㄷ, ㅂ]으로 발음한다.

 

ㄱ, ㄲ, ㅋ -> ㄱ

ㄴ -> ㄴ

ㄷ, ㅌ, ㅅ, ㅆ, ㅈ, ㅊ -> ㄷ

ㄹ -> ㄹ

ㅁ -> ㅁ

ㅂ, ㅍ -> ㅂ

ㅇ -> ㅇ

 

  • 표준발음법 제 13항 흩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 표준발음법 제 15항 발음 뒤에 모음 'ㅏ, ㅓ, ㅗ, ㅜ, ㅝ'들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어미: 동사, 형용사의 뒷부분으로 활용할 때 변하는 말

접미사: 단어 뒤에 붙어 뜻을 더해 주는 말

음가: 소릿값

실질 형태소: 동작이나 상태를 나탄는 실질적인 의미를 가진 말

 

겹받침의 올바른 발음

  • 표준발음법 제 10항 겹받침 [ㄳ] [ㄵ] [ㄼ,ㄽ,ㄾ] [ㅄ]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ㄴ,ㄹ,ㅂ]으로 발음한다
  • 표준발음법 제 11항 겯받침 [ㄺ,ㄻ,ㄿ]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ㅁ,ㅂ]으로 발음한다
  • 표준발음법 제 14항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 뒤엣것만을 뒤 음절소리로 옮겨 발음한다.(이 경우, 'ㅅ'은 된소리로 발음)

 

올바른 표기

되다

되- + -고 -> 되고

되- + -었다 -> 되었다 -> 됐다

 

안/않

아니 -> 안

아니하 -> 않

 

낫다/낳다

낫다: 병이나 상처 따위가 고쳐져 본래대로 되다.

ex) 감기가 낫지 않아

낳다ㅣ 배속아 아이, 새끼, 알을 몸 밖으로 내놓다.

ex) 자식을 낳아 기르다.

 

부치다/붙이다

부치다: 편지나 물건 따위를 일정한 수단이나 방법을 써서 상대에게로 보내다. 등

ex) 편지를 집으로 부쳤다.

붙이다: 맞닿아 떨어지지 아니하게 하다. 등

ex) 봉투에 우표를 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