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학년 1학기

3 - 1 과학 [ 날씨 변화 ]

1. 기단과 전선

 

기단

넓은 범위에 걸쳐 기온과 습도 등의 성질이 비슷한 대규모의 공기 덩어리를 말한다.

기단의 발생

공기가 특정 지역에 오래 머물면 그 지역의 지표면과 열과 수증기를 교환하여 기단이 발생한다.

기단의 성질

발생한 장소에 따라 성질이 달라진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

우리나라는 중위도 지방의 대륙과 해양의 경계에 위치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단의 영향을 받는다

기단의 성질 변화

기단이 세력을 확장하여 기단과 성질이 다른 지표면으로 이동하면 기단의 성질도 변한다. 예를 들어 한랭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이 서해를 지나면 열과 수증기를 공급받아 구름이 형성되어 비나 눈이 내리기도 한다.

초여름의 장마

초여름에 오호츠크해 기단과 북태평양 기단이 동해상과 만나 장마 전선을 형성하면 오랜 기간 비가 내린다.

 

전선면과 전선

 전선면 : 성질이 다른 두 기단이 만나면 바로 안 섞이고 경계면이 형성되는데 이 경계면을 전선면이라고 한다.

 전선 : 전선면과 지표면이 만나는 경계선을 전선이라고 한다. (전선은 주로 중위도 지역에서 형성된다)

전선의 종류

 1.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

 2. 폐색 전선과 정체 전선

폐색 전선이 형성되는 과정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이 겹펴지면서 더운 공기가 찬 공기 위로 밀려 올라간다. 폐색 전선에서는 전선의 앞쪽과 뒤쪽에서 모두 비가 내린다.

장마 전선

초여름에 형성되는 장마 전선을 정체 전선에 해당한다.

 

2. 기압과 날씨

 

고기압과 저기압

온대 저기압

 1. 온대 저기압

 중위도 지방의 북쪽의 차가운 기단과 남쪽의 따뜻한 기단이 만나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을 동반한 저기압이다.

 2. 온대 저기압의 중심에서 남서쪽으로는 한랭 전선이 형성되고, 남동쪽으로는 온난 전선이 형성된다.

3. 온대 저기압은 북반구 중위도 지방의 대기 흐름을 타고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해간다

-> 온대 저기압이 지나가는 지역에서는 온난 전선과 한랭 전선이 차례로 통과하면서 날씨 변화가 나타난다

 

3. 날씨와 일기도

 

일기도

기온, 기압, 풍향, 풍속, 고기압, 저기압, 등압선, 전선 등을 기호로 표시하여 여러 지역의 대기 상태를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작성한 지도이다.

우리나라의 계절별 기압 배치와 날씨

 1. 봄, 가을 : 서쪽에서 이동성 고기압이 다가오면서 맑고 따뜻한 날씨가 나타나지만 뒤이어 저기압이 지나가며 날씨가 흐려짐 -> 날씨 변화가 심하게 나타난다.

 2. 여름 : 남쪽에 고기압, 북쪽에 저기압이 분포하는 남고북저형 기압 배치가 나타나며, 남동 계절풍이 불고 무덥고 습한 날씨가 나타난다.

 3. 겨울 : 서쪽에 고기압, 동쪽에 저기압이 분포하는 서고동저형 기압 배치가 나타나며, 북서 계절풍이 불고 춥고 건조한 날씨가 나타난다.

'3학년 1학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 1 국어 [ 국어의 음운 ]  (0) 2021.06.04
3 - 1 사회 [ 인권과 헌법 ]  (0) 2021.06.03
3 - 1 과학 [ 기압과 바람 ]  (0) 2021.05.26
3 - 1 국어 [ 읽고 토론하고 ]  (0) 2021.04.23
3 - 1 과학 [ 대기 중의 물 ]  (0) 2021.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