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학년

(12)
중학교 2학년 역사 6단원 조선 사회의 변동 2 세도 정치가 출현하다. 세도 정치의 대두 세도정치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음 힘 있는 몇몇 가문이 권력을 득점하는 정치 형태 등장 배경 영조, 정조 시대 탕평책의 한계로 권력이 소수에게 집중된 상황에서 순조가 어린 나이로 즉위 과정 순조(안동 김씨) -> 헌종(풍양 조씨)-> 철종(안동 김씨)에 걸쳐 약 3대 60년(1800~1863) 결과 왕권의 약화, 정치기강의 문란으로 매관매직 및 과거시험 부정행위 성행, 농민의 삶 악화 삼정의 문란 배경 세도정치로 인한 정치, 기강 문란, 뇌물을 주고 관직을 산 관리들의 수탈이 심화 삼정의 의미 전정 : 영정법, 대동법, 걸작 등 토지에 부과되는 세금을 통틀어 일컫는 말 환곡 : 본래 봄에 곡식을 빌려주었다가 가을에 약간의 이자를 붙여 갚도록 한 제도 -> 강제로 ..
중학교 2학년 역사 6단원 조선 사회의 변동 1. 붕당 정치의 전개와 탕평책의 실시 통치 체제를 정비하다 1) 비변사의 기능과 위상 강화 외란과 호란 이후 -> 비변사 확대 개편, 국가의 주요 정책을 논의하고 결정하는 기구가 됨 -> 의정부와 6조 기능 약화, 왕권 강화 (*비변사란? 왜구와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한 임시 국방기구로 설치되었으며, 양 난을 거치면서 조직이 확대되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기능이 강화되어 국방, 군사뿐만이 아니라 외교, 재정, 사회, 인가 문제 등 나라의 중요한 일을 거의 다 처리하게 됨.) 2) 군사 제도의 개편 중앙군 - 5군영(훈련도감, 어영청, 총용청, 수어청, 금위영) 지방군 - 속오군(양반을 비롯한 양인, 천인이 함께 편성 -> 점차 천인이 대다수를 차지함) 조세 제도를 개편하다 1) 기존의 조세 제도와 문제점..
중학교 2학년 과학 8단원 열과 우리 생활 1. 온도와 입자 운동 온도 : 물체의 차갑고 뜨거운 정도를 숫자로 나타낸 것 1) 감각으로는 물체의 온도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없으므로 온도계를 사용한다. 2) 섭씨온도와 절대 온도 온도와 입자 운동 온도는 물체를 구성하는 입자 운동이 활발한 정도를 나타낸다. - 입자 운동이 활발히자 않으면 온도가 낮고, 입자 운동이 활발하면 온도가 높다 입자 운동이 활발해지는 경우 -물체를 가열할 때 -물체를 두드릴 때 -물체를 튕길 때 - 물체를 마찰할 때 2. 열의 이동 방식 1) 전도 물질을 이루는 입자의 운동이 이웃한 입자에 차례로 전달되어 열이 이동하는 현상 물질마다 열이 전도되는 정도가 다르다. 은>구리>알루미늄>철>유리>나무 순으로 열을 잘 전도한다. 2) 대류 물질을 이루고 있는 입자들이 직접 이동하면..
중학교 2학년 역사 5단원 조선의 성립과 발전2 3. 사림의 성장과 붕당의 출현 1. 사림이 정계에 진출하다 1) 사림의 등장 훈구 세력 급진개혁파 중 태조, 세조의 즉위에 공을 세운 세력으로 주로 세조, 예종, 성종대의 공신 토지, 재산을 늘리고 주요 관직을 차지하며 부정부패함 사림 세력 저선건국에 불참한 온건파 신진사대부의 후손으로 지방에서 학문과 교육에 힘쓴 유학자들 주로 지방 중소 지주 출신으로, 훈구 세력을 비판하고 왕이 도덕과 의리를 바탕으로 신하와 백성을 바르게 이끄는 왕도정치를 목표로 함. 성종의 훈구세력 견제를 위해 주로 3사에 등용됨 -> 훈구 세력의 비리 비판 사화의 발생 사화: 사림이 훈구로부터 받은 정치적 탄압이다. 연산군 무오사화(1498) : 성종실록에 실릴 예정이던 김종직의 글이 세조의 단종 폐위를 비판하고있다고 하여 사림..
중학교 2학년 국어 4단원 올바른 국어생활 (1) 올바른 발음과 표기 ㅢ의 올바른 발음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한다. ex) 여행[여행], 과일[과일], 의리[의리] 표준 발음법 제 5항 'ㅢ'는 이중 모음 [ㅢ]로 발음한다. 다만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다만4.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 [ㅣ]로, 조사'의'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받침소리의 올바른 발음 표준발음법 제 8항 받침소리로는 [ㄱ,ㄴ,ㄷ,ㄹ,ㅁ,ㅂ,ㅇ] 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표준발음법 제 9항 받침 [ㄲ,ㅋ] [ㅅ,ㅆ,ㅈ,ㅊ,ㅌ] [ㅍ]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대표음 [ㄱ, ㄷ, ㅂ]으로 발음한다. ㄱ, ㄲ, ㅋ -> ㄱ ㄴ -> ㄴ ㄷ, ㅌ, ㅅ, ㅆ, ㅈ, ㅊ -> ㄷ ㄹ -> ㄹ ㅁ -> ㅁ..
중학교 2학년 과학 7단원 수권과 해수의 순환2 해류 해류란? 해수가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흐르는 것 1) 해류의 종류 2) 해류의 특징 주변 바다의 수온에 영향을 준다 -> 난류가 흐르는 해역은 주변 바다보다 수온이 높고, 한류가 흐르는 해역은 주변 바다보다 수온이 낮다 우리나라 주변의 해류 우리나라 주변 바다에는 난류와 한류가 모두 흐르고 있다 1) 난류: 쿠로시오 해류에서 갈라져 나와 우리나라 주변 바다로 흐른다. (검붉은색을 띠어 흑조라고도 불림) 황해 난류: 쿠로시오 해류의 일부가 우리나라쪽으로 흘러와서 황해로 흐른다. 동한 난류: 쿠로시오 해류의 일부가 흘러와서 남해를 지나 동해로 흐른다. 2) 한류: 연해주 한류의 일부가 연안을 따라 남하하여 북한 한류를 이룬다. 북한 한류: 연해주 한류의 일부가 동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흐른다. 3)..
중학교 2학년 과학 6단원 물질의 특성 용해도 용해도란? 어떤 온도에서 용매 100g에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질량(g)이다. 1) 일정한 온도, 같은 용매에서 용해도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물질의 특성이다. 2) 용해도 곡선: 온도에 따른 용해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고체의 용해도 고체는 대부분 온도가 높을 수록 용해도가 커진다. (고체의 용해도는 온도와 비례한다.) 기체의 용해도 기체는 온도가 낮을수록, 압력이 높을수록 용해도가 커진다. (기체의 용해도는 온도와 반비례하고 압력과 비례한다.) 용액의 상태 포화 상태: 일정량의 용매에 용질이 최대로 녹아 있는 상태 불포화 상태: 용질이 더 녹을 수 있는 상태 과포화 상태: 녹을 수 있는 양 이상으로 용질이 녹아있는 상태. 용해도 관련 예상 문제 풀이 문제집에서 자주 나오는 ..
중학교 2학년 역사 5단원 조선의 성립과 발전 1. 조선의 건국과 통치 체제의 정비 1. 새로운 왕조 조선이 건국되다. (1) 조선의 건국(1392) 신진 사대부들과 이성계의 협력, 위화도 회군을 통해 정권 장악 -> 과전법으로 경제적 기반 확보 -> 이성계 즉위, 성리학의 지배 이념화 (2) 한양 천도(1394) 한반도의 중앙에 위치, 교통 편리, 방어에 유리함 2. 유교 이념에 따라 통치 체제가 정비되다 (1)통치 체제 정비 (*성종때 유교 중심의 중앙 집권적 통치 체제 마련) (2) 중앙 정치 제도 의정부와 6조 중심, 3사(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 언론 기능), 승정원(왕의 비서 기관), 의금부(반역 등 중요 범죄 담당), 춘추관(역사서 편찬), 성균관(최고 국립 교육 기관), 한성부(서울의 해정과 치안 담당) (3) 지방 행정 체제 8..
중학교 2학년 과학 7단원 수권과 해수의 순환 해수의 특성 1. 해수의 온도 1) 표층 해수의 온도 표층의 해수 온도는 위도에 따라 달라 진다. -> 위도에 따라 해수면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의 양이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저위도 해역은 해수면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의 양이 많기 때문에 표층 해수의 수온이 높다. 고위도 해역은 해수면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의 양이 적기 때문에 표층 해수의 수온이 낮다. 2) 깊이에 따른 해수의 온도 깊이에 따른 수온 분포를 기준으로 혼합층, 수온 약층, 심해층의 층상 구조를 이룬다. (*수온 약층은 혼합층과 심해층 사이에서 열이나 물질이 교환되는 것을 차단한다) 2. 해수의 염분 1) 염류 : 해수에 녹아 있는 여러 가지 물질 1. 염류의 종류 : 짠맛이 나는 염화 나트륨, 쓴맛이 나는 염화 마그네슘, 황산 마그네슘..
중학교 2학년 역사 4단원 고려의 성립과 변천 3 3. 고려 사회의 변천 1) 문벌 귀족 사회가 흔들리다. 1. 문벌 귀족 -> 대대로 높은 관직이나 권력을 독차지한 고려의 지배층으로 왕실이나 비슷한 가문끼리 결혼으로 세력을 확대함. 2. 귀족 사회의 위기 -> 문벌 귀족과 신흥 관료 사이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2)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1. 이자겸 왕실 외척인 문벌귀족 2. 전개 ① 배경 : 대표적인 문벌인 경원 이씨 가문의 성장 ⇒ 왕실과의 거듭된 혼인으로 최고 권력자가 됨 ② 과정 : 이자겸의 권력 독점에 대한 인종의 불만 → 인종은 이자겸 제거를 시도하나 실패 → 이자겸이 척준경과 손잡고 군대를 일으켜 인종 진압 → 척준경의 이자겸 제거 ③ 결과 : 개경 궁궐이 불타는 등 왕실의 권위 하락, 문벌 귀족 사회의 분열 3) 묘청의 서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