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학년 1학기

3 - 1 역사 [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6.25 전쟁 ]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과정

북한 정부의 수립 과정

농지 개혁: 유상 매입, 유상 분배하는 방식으로 추진 -> 지주제는 거의 사라지고 농민들이 자기 땅을 가지고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됨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반민특위): 친일파 조사 및 처벌을 위해 마련 -> 이승만 때 새나라 건설을 위해 힘을 합쳐야 한다는 명분으로 반민특위 반대 - 1949년 10월 4일 반민특위 폐지 법률 공포(해체)

 

6. 25 전쟁이 일어나다

배경

전개

- 전쟁 발발과 유엔군의 참전

북한의 남침(1950) -> 낙동강 방어선으로 후퇴 -> 유엔군 참전 결의 -> 인천 상륙 작전 -> 서울 수복

- 중국군의 개입과 휴전

국군과 유엔군의 압록강 진격 -> 중국군의 개입 -> 북한군과 중국군이 다시 서울 점령(51년 1.4후퇴) -> 국군과 유엔군 반격으로 서울 재 탈환 -> 38선 부근에서 치열하게 전개(2년) -> 휴전 성립(1953)

 

6. 25 전쟁의 결과

- 냉전 시대에 나타난 최대의 국제 전쟁 : 막대한 인명 피해 (사상자는 남북한 전체 인구의 1/6에 해당)

- 전 국토 황폐화(건물과 산업 시설 파괴)

- 피란민, 전쟁고아, 이산가족 발생

- 남북 간의 적대감 확산

- 분단의 고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