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학년 1학기

3 - 1 역사 [ 자유민주주의의 발전과 경제 성장 ]

신군부의 등장과 5.18 민주화 운동

- 12.12 사태 : 신군부가 군사권 장악 (전두환, 노태우 등장)

- 5.18 민주화 운동 : 민주주의 헌정회복 요구 시위확산 > 광주에서 5.18 민주화 운동전개(1980) > 신군부 강제 진압

- 전두환 정부의 수립 : 대통령 간선제의 헌법 개정 -> 전두환 대통령 선출

 

전두환 정부와 6월 민주 항쟁 (유화 정책을 펼쳤으나 여전히 민주화 운동 탄압)

- 배경 : 전두환 정부의 독재와 부정부패

- 계기 : 대학생의 고문 치사 사건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

- 전개 : 대통령 직선제 개헌 요구 -> 민주화를 열망하는 시민들의 시위가 전국 확산 (1987. 6월 민주 항쟁)

- 결과 : 6.29 민주화 선언 (대통령 직선제로 개헌, 5년 단임제, 언론의 자유)

 

노태우 정부

- 노태우 정부 수립 : 6월 민주 항쟁의 승리로 대통령 직선제 실시 -> 대통령 선거를 통해 당선

- 서울 올림픽 개최, 남북한 동시 유엔 가입, 북방 정책 추진으로 여러 공산 국가와 국교 수립

 

민간 정부의 수립과 발전

1. 김영삼 정부: 5.16 군사 정변 이후 최초로 등장한 민간 정부 (문민정부)

- 금융 실명제 : 경제의 투명성 높이기

- 지방 자치제 전면 실시 : 민주주의 성장에 기여

- 역사 바로 세우기 운동 전개 :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을 반란 및 내란죄로 법정에 세움

- 1997년 외환 위기 : 국제 통화 기금(IMF)의 금융 지원 받게됨

 

2. 김대중 정부

- 외환 위기 극복 (아나바다 운동, 금모으기 운동 등 전개)

- 대북 화해 협력 정책 햇볕정책 추진 : 한반도 평화 정착에 기여 (제 1차 남북 정상 회담)
- 2002년 한, 일 월드컵 성공적으로 개최

 

3. 노무현 정부 (참여정부 표방) : 친일, 독재 등 과거사 정리에 노력

4. 이명박 정부 : 친환경 녹색 성장 추진, 선진 20개국 정상 회담 (G20 정상 회의 개최)

5. 박근혜 정부 : 일자리 중심의 창조 경제, 맞춤형 고용 복지, 창의 교육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