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학년 1학기

3 - 1 역사 [ 송, 원의 발전과 동서 교류의 확대 ]

황제에게 권력이 집중되다

송 대의 문치주의

 - 송의 건국 : 5대 10국의 분열기를 수습한 조광윤이 송 건국

 - 문치주의 정책

국방력 약화

문치주의 실시로 무인 세력 약화 -> 거란족(요), 서하의 침입이 잦음 -> 은, 비단, 차 등을 주는 대가로 평화 유지 -> 국가 재정 악화를 초래 -> 왕안석의 개혁 실시 : 부국강병 목표 -> 보수적인 관료들의 반대로 실패 -> 남송의 건국 : 여진족(금)에게 수도 변경을 빼앗기고 양쯔강 이남에 남송 건국

 

송의 경제와 문화가 발전하다

송의 경제와 서민 문화 발달

경제 :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경제 발전

 - 농업 : 저습지 개간, 모내기와 이모작 도입, 차. 목화. 사탕수수 등 상품 작물 재배

 - 상업 : 도시에 개방적 시가지 형성, 동업 조합 결성, 교자(지폐) 사용

 - 국제 무역 : 해상 교역 발달, 항저우 성장, 시박사가 무역 관리

 

문화의 발달 

 - 서민 문화의 발달 : 상업과 도시의 발달로 서민의 지위 향상

 - 성리학 등장 : 인간의 본질과 우주의 원리를 탐구하는 학문 발달

 - 과학 기술 발달 : 화약, 나침반, 활판인쇄술

 

몽골, 유라시아에 걸친 대제국을 건설하다

정복왕조 : 요. 금

정복 왕조의 한족 지배

- 이중 지배 체제 : 효육적으로 한족을 지배하기 위해 한족에는 군헌제를 실시하고, 유목 민족에게는 부족제를 실시함

- 독자적 문자 사용 : 한족 문화에 동화되지 않고 고유의 문화를 유지하기 위함

 

몽골의 대제국 건설

- 대제국 형성 : 칭기즈 칸의 부족 통합(1206), 중앙아시아 대부분 통합 -> 징기즈 칸 사후에도 정복 활동 전개 -> 금과 아바스 왕조 멸망, 러시아와 동유럽 일주 지역 정복(대제국 건설)

- 차가타이 한국, 킵차크 한국, 일 한국 성립 : 자손에게 정복지를 나눠주는 몽골의 관습에 따라 여러 한국이 설립

 

원의 중국 지배 : 쿠빌라이가 국호를 원으로 고치고 남송 정복 -> 중국 전체 지배

- 민족 차별 정책 : 소수의 몽골인이 다수의 한인을 지배하기 위해 민족을 네 부류로 나눠 민족 차별 정책 추진

- 원의 문화 : 서민 문화 발달, 구어체로 쓴 소설과 희곡 유행, 잡극 공연, 라마교 (국교)

- 원의 멸망 : 쿠빌라이 칸의 사후 자리를 둘러싼 갈등, 교초(지폐)의 남발로 인한 재정 악화, 농인의 부담 증가 -> 홍건적의 난으로 원 쇠퇴 -> 명의 주원장에게 멸망

 

동서 교역과 문화 교류가 활발해지다

동서 교유의 확대

- 교류의 활성화 : 13세기 몽골 제국 성립으로 초원길, 비단길, 바닷길 모두 연결

- 역참 : 몽골 제국은 수도를 중심으로 전국을 연결하는 도로망과 역참을 건설 -> 여행자에게 말, 식량, 숙소 제공으로 상인과 여행자의 통행 활발

- 마르코폴로와 이븐 바투타 : 중국 방문 및 나침반의 유럽 전래 -> 항해술 발달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