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5)
중학교 2학년 역사 6단원 조선 사회의 변동 1. 붕당 정치의 전개와 탕평책의 실시 통치 체제를 정비하다 1) 비변사의 기능과 위상 강화 외란과 호란 이후 -> 비변사 확대 개편, 국가의 주요 정책을 논의하고 결정하는 기구가 됨 -> 의정부와 6조 기능 약화, 왕권 강화 (*비변사란? 왜구와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한 임시 국방기구로 설치되었으며, 양 난을 거치면서 조직이 확대되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기능이 강화되어 국방, 군사뿐만이 아니라 외교, 재정, 사회, 인가 문제 등 나라의 중요한 일을 거의 다 처리하게 됨.) 2) 군사 제도의 개편 중앙군 - 5군영(훈련도감, 어영청, 총용청, 수어청, 금위영) 지방군 - 속오군(양반을 비롯한 양인, 천인이 함께 편성 -> 점차 천인이 대다수를 차지함) 조세 제도를 개편하다 1) 기존의 조세 제도와 문제점..
중학교 2학년 역사 5단원 조선의 성립과 발전2 3. 사림의 성장과 붕당의 출현 1. 사림이 정계에 진출하다 1) 사림의 등장 훈구 세력 급진개혁파 중 태조, 세조의 즉위에 공을 세운 세력으로 주로 세조, 예종, 성종대의 공신 토지, 재산을 늘리고 주요 관직을 차지하며 부정부패함 사림 세력 저선건국에 불참한 온건파 신진사대부의 후손으로 지방에서 학문과 교육에 힘쓴 유학자들 주로 지방 중소 지주 출신으로, 훈구 세력을 비판하고 왕이 도덕과 의리를 바탕으로 신하와 백성을 바르게 이끄는 왕도정치를 목표로 함. 성종의 훈구세력 견제를 위해 주로 3사에 등용됨 -> 훈구 세력의 비리 비판 사화의 발생 사화: 사림이 훈구로부터 받은 정치적 탄압이다. 연산군 무오사화(1498) : 성종실록에 실릴 예정이던 김종직의 글이 세조의 단종 폐위를 비판하고있다고 하여 사림..
중학교 2학년 역사 4단원 고려의 성립과 변천 3 3. 고려 사회의 변천 1) 문벌 귀족 사회가 흔들리다. 1. 문벌 귀족 -> 대대로 높은 관직이나 권력을 독차지한 고려의 지배층으로 왕실이나 비슷한 가문끼리 결혼으로 세력을 확대함. 2. 귀족 사회의 위기 -> 문벌 귀족과 신흥 관료 사이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2)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1. 이자겸 왕실 외척인 문벌귀족 2. 전개 ① 배경 : 대표적인 문벌인 경원 이씨 가문의 성장 ⇒ 왕실과의 거듭된 혼인으로 최고 권력자가 됨 ② 과정 : 이자겸의 권력 독점에 대한 인종의 불만 → 인종은 이자겸 제거를 시도하나 실패 → 이자겸이 척준경과 손잡고 군대를 일으켜 인종 진압 → 척준경의 이자겸 제거 ③ 결과 : 개경 궁궐이 불타는 등 왕실의 권위 하락, 문벌 귀족 사회의 분열 3) 묘청의 서경..
중학교 2학년 역사 4단원 고려의 성립과 변천 2 1. 고려, 통치 제도를 정비하다 1) 중앙 정치 제도 2성 6부 중서문하성 : 국가의 정책을 논의하고 결정하는 최고 기관 상서성 : 6부를 통해 정책을 집행 6부 : 이, 병, 호, 례, 형, 공으로 나눠 행정 실무 담당 도병마사 : 국방 문제를 다룸 -> 점차 국가의 주요 문제를 다루는 최고 권력 기구로 발전 식목도감 : 법 제정과 자료 보관 담당 2) 지방 행정 제도 3) 고려의 군사 제도 1. 중앙군 -> 2군은 궁궐의 수비를 담당, 6위는 개경과 국경 방어 담당 2. 지방군 -> 지역 수비와 국가의 공사에 동원된 주현군(5도) 국경 수비를 담당한 주진군(양계) 4) 교육 제도 개경과 서경에 학교 설립(태조) 최고 교육 기관인 국자감 설립, 지방에 경학 박사와 의학 박사 파견(성종) 지방에는 향교..
중학교 2학년 역사 4단원 고려의 성립과 변천 1.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 통일 1) 고려의 건국 ① 궁예가 실정으로 민심을 잃음 ⇒ 송악의 호족이었던 왕건이 궁예를 몰아내고 왕위에 오름(918) ② 고려 :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라는 의미 ③ 개경 : 자신의 기반이었던 송악으로 수도를 옮김 2) 후삼국의 통일 세금 감소 = 민심획득 호족을 포섭해 지배 체제 정비 -> 후백제와 대립, 신라와 우호관계 공산전투(927) : 후백제의 견훤이 경주를 기습 공격하여 전투가 벌어졌으며 고려가 크게 패배 고창전투(930) : 고창(안동)에서 고려가 후백제를 크게 이겨 후삼국 통일의 기반 마련 신라의 멸망(935) : 마지막 왕인 경순왕이 스스로 항복해 고려에 나라를 넘김 후백제 멸망(936) : 왕위를 둘러싼 내분에서 패한 견훤이 고려에 투항. 후삼국 통일 3) ..